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추천리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흑인모델과 유럽의 화가들

제다빈



《흑인모델 : 제히코부터 마티스까지》
프랑스 파리 오르세미술관
2019.3.26-7.21

다양성에 대한 진보적인 담론이 비로소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는 인류역사의 현시점에서 파리 오르세미술관이 획기적 전시를 기획했습니다.

전시는 기존의 미술사에서 간과했던, 또는 알고 있었지만 눈길을 주지 않은 이들을 조망해보고자 합니다. 그들은 유럽에 거주하는 백인 중심의 예술가들과 활발하게 소통하며, 그들의 예술과 예술사에 상당한 기여를 한 흑인 모델입니다. 모델로서 흑인들에게 자유와 평등의 가치에 준하는 올바른 이름과 정체성을 부여하며, 오랜 시간동안 무시되었던 그들의 역사를 전시로서 서술해보려는 현대적 시도인 것입니다. 오르세미술관의 관장은 이에 덧붙여 ‘모델’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고 말합니다. 모델을 작품의 대상으로 보는 것에서 나아가 주권과 가치를 품은 직업인으로서 조명해보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거의 2세기에 달하는 작품과 자료들을 활용한 전시의 리듬이 아주 촘촘하고 무척 긴장감이 있었습니다. 

19세기 유럽의 화가들은 모순적이고 불평등한 노예제도를 목격하게 됩니다. 1794년 프랑스 공회의 전면적인 노예해방 선언을 이룩하기까지 끊이지 않았던 잔혹한 투쟁과 그 이후에도 또한번 노예를 승인하고 다시 폐지하는 기나긴 여정을 화가들 또한 바다너머 매체를 통해 들을 수 있었습니다.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몇몇 화가들은 프랑스 살롱전에 흑인 노예들의 인권탄압을 규탄하는 작품들을 출품했습니다. 오귀스트 비아르François-Auguste Biard는 그 중 한명으로 <흑인노예무역>을 출품함으로서 프랑스 화단과 사람들을 놀라게 했지만,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는 노예를 너무 생생하게 표현했다는 이유로 거부당했습니다. 하지만 몇차례의 혁명 이후 세워진 프랑스 2차 공화정에서는 다시 나폴레옹 시절 공화정 체제를 다시 찬미하며 회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졌고, 비아르에게 노예제도폐지를 묘사하는 작품을 의뢰하는 데에 이르게 됩니다. 이 때 비아르는 <1848년 4월 27일 프랑스 식민지에서 노예제도폐지 선언>이라는 큰 규모의 그림을 캔버스에 그립니다. 쇠고랑을 끊고 하늘로 몸부림치는 자유로워진 노예들과 땅에 무릎을 꿇고 머리위로 손을 뻗치며 노예제도 폐지의 날을 축하하는 흑인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야만적’으로 묘사한 노예들과 그에 반해 점잖고 권위적으로 서있는 프랑스인, 그리고 노예들을 어루만져주고 있는 듯한 드레스를 입은 여성들을 보았을 때 좌측에 자랑스럽게 펄럭이는 국기 아래 프랑스의 식민정책을 오히려 인정하고 있는 한계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François-Auguste Biard, Proclamation of the Abolition of Slavery in the French Colonies 
27 April 1848 , 1849, Musee d’art Roger-Quillot>

노예제도 반대를 넘어서 유럽중심의 ‘미’에 대한 독점적 기준에 반대하는 예술가도 있었습니다. 샤를 꼬르디에Charles Cordier는 ‘미’는 포괄적인 개념이며 무수하게 다른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어야한다는 소신을 가진 예술가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조각한 흉상에는 다양한 얼굴들이 등장합니다. 부드럽고 온화한 여신상이나 높고 오똑한 코와 근육질의 (남)신상의 모습이 아니라 그가 만들고자 한 것은 날카롭게 조각한 흑인들의 흉상이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작품은 <Vénus Africaine 아프리카 비너스> 입니다. 곱슬머리와 입체감 넘치는 두상으로 인해 그녀가 흑인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기존에 떠올리는 비너스의 모습과는 많이 다르지만, 고요하고 차분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듯한 무심한 눈빛과 온화한 표정, 편안하고 우아한 자세의 그녀는 의심의 여지 없이 비너스입니다. 꼬르디에가 살아가는 세계에서 만연했던 흑인들을 바라보는 우월한 시선을 여과 없이 비판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비너스가 될 수 있는 세상이 와야만 하고 그럴 것이라는 조각가의 소신이 강렬히 느껴졌습니다. 유럽공동체의 오래된 공공의 적 아랍세계의 사람들조차 꼬르디에는 그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다고 여겼습니다. 아주 화려한 의상과 모자로 꾸며진 술탄의 모습은 유럽의 왕과 비할만합니다. 


<Charles Cordier, Vénus Africaine, 1851(좌, 중) Charles Cordier, Homme du Soudan Française, 1857(우)>

이 전시에서는 또한 우리들에게 아주 익숙한 작품을 혹시 편협한 시각으로 선택적으로 감상하지는 않았는지 성찰합니다. 인상주의 선구자였던 ‘마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작품 중 하나는 <올랭피아>입니다. 이 작품에는 두 인물이 등장하는데, 검은 눈동자로 날카롭게 파리지앵들을 바라봤던 매춘부 여인의 모습이 너무 강렬하기 때문에 옆에 고상한 백색 원피스를 차려입은 인물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전시에서는 이 인물, 로르Laure의 존재감을 재조명합니다. 로르는 올랭피아 외 마네의 다른 두 작품에서도 모델을 섰던 프로모델이었습니다. 그녀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아 여러가지 추측이 존재하지만 그녀는 프랑스에서 아프리카나 캐리비안계 부모의 딸로 태어나 하녀로 생계를 유지하며 프랑스의 여러 화가들에게 모델을 섰다고 추정합니다. 마네는 로르를 ‘아름다운 흑인여성’으로 칭송했으며 그녀를 올랭피아 외 다른 작품에서도 모델을 부탁합니다. 마네가 묘사한 로르의 모습은 언제나 품격있고 주권을 가진 사람의 모습입니다.


<Édouard Manet, Olympia, 1863, Musée d’Orsay>


<Édouard Manet, Laure (aka La Négresse), 1862-5 >

이미지로 생각을 형성하고 인지하는 세상에서 예술가의 그림은 사고의 틀을 바꾸는 데 묵직한 힘을 내왔습니다. 우리는 세상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이미지에 길들여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흑인들에 대한 반인격적 대우와 몰상식한 처우에 꿋꿋이 소리를 내고 작품으로 그렸던 예술가들이 새삼 고맙습니다. 예술사에 남을만한 중요한 전시가 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제다빈 kei05153@gmail.com

전체 0 페이지 0

  • 데이타가 없습니다.
[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